여몽전쟁 2차 침입 배경
몽골의 1차 침입 후 고려는 몽골에게 항복합니다. 그런데 몽골에 항복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최 씨 정권은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도로 옮기겠다는 충격적인 선언을 합니다. 강화도는 지금이야 자동차로 쉽게 갈 수 있는 곳이지만, 이때만 해도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는 섬이었습니다. 수도는 보통 교통이 발달한 곳에 있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오가기 힘든 섬으로 옮기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최 씨 무신정권이 강화 천도를 결정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고려는 몽골과의 전쟁이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다시 전쟁이 일어난다면 수도를 방어해야 할 텐데, 1차 전쟁을 통해 개경이 머무는 한 몽골군을 막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몽골에는 바다가 없어 몽골군이 배를 타고 싸우는 해전에 약했기 때문입니다. 최 씨 무신정권은 몽골군이 강화도를 쉽게 점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렇게 강화 천도한 것이 몽골군의 심기를 건드렸습니다. 몽골은 화친을 맺은 고려가 자신들의 군대가 철수하자마자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강화도로 수도를 옮겨 크게 분노한 것입니다. 자신들을 무시했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결국 몽골은 고려가 강화도로 수도를 옮긴 지 3개월도 채 되지 않아 다시 고려를 침략합니다. 몽골의 2차 침입은 1차 침략으로 고려 땅을 폐허로 만들고 돌아간 지 8개월도 되지 않은 1232년이었습니다.
처인성 전투
2차 침입 당시 몽골군을 이끈 장수는 살리타였습니다. 1차 침략 때 고려를 항복시키고 무리한 공물을 요구했던 인물입니다. 1232년 12월 16일, 살리타는 지금의 경기도 용인 지역인 처인성을 지나고 있었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개경을 중심으로 역마들이 이동하는 역로망이 전국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는데, 처인성은 개경에서 경상도로 가는 역로에 있는 역이었습니다. 즉, 처인성을 차지하면 경상도로의 진격이 가능했다는 말입니다. 그런 만큼 고려 입장에서는 꼭 지켜야 하는 성이었습니다. 몽골군이 처인성에 당도하자마자 어디선가 화살이 날아들었습니다. 그러고는 몽골군 전체가 갑자기 달아나기 시작했습니다. 몽골군을 이끈 살리타가 화살에 맞았기 때문입니다. 총사령관이 죽었으니 놀라서 전쟁을 중지하고 후퇴한 것입니다. 살리타에게 화살을 쏜 사람의 이름은 김윤후, 그는 승려였습니다. 스스로를 몽골의 권황제라고 불렀던 총사령관이 군인도 아닌 승려의 화살에 맞아 죽었으니 몽골로서는 커다란 치욕이었습니다. 승려 김윤후와 함께 처인성을 지키던 이들 또한 특수한 행정구역인 향, 부곡, 소에 사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향, 부곡, 소는 다른 나라에서 넘어와 정착한 사람들, 반역죄를 지은 사람들, 왕실에서 필요로 하는 특별한 물품을 만드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었습니다. 고려에서 가장 힘없고 차별받던 이들이 살던 처인부곡에서 김윤후가 날린 화살 한 방이 몽골군을 격퇴한 것입니다.
간절한 소망으로 완성한 팔만대장경
총사령관 살리타의 죽음으로 몽골군은 후퇴했지만, 그렇다고 고려를 포기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후로도 몽골의 침략은 계속되었습니다. 1235년에는 살리타 죽음에 대한 복수를 빌미로 3차 침입을 했고 경상도 지역까지 장악합니다. 고려 정부는 몽골의 요구 조건을 받아들이며 항복을 맹세해야만 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은 1247년에는 고려가 약속을 어겼다며 4차 침입을 감행했고, 1248년 자신들의 황제가 죽자 고려에서 떠났습니다. 몽골의 네 번째 침입은 그렇게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렇게 잦은 몽골의 침략에 누구보다 고통받은 것은 백성들이었습니다. 고려의 백성들은 오랜 전쟁으로 지쳐갔습니다. 이미 수차례의 침략을 받은 고려인들이 기댈 곳은 종교뿐이었습니다. 무력으로는 몽골을 이길 수 없다는 생각에 불교의 힘으로 나라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 것입니다. 그래서 팔만대장경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팔만대장경을 만들기 위해 산에 올라가 벌채한 나무를 운반해야 했고, 경판에 글자를 하나하나 손으로 직접 새기는 일을 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작업에 들인 시간과 정성은 엄청났을 것입니다. 고려 백성들의 간절한 소망이 없었다면 팔만대장경은 완성되지 못했을 것입니다. 불교의 힘을 빌려 세계 최강 몽골군을 물리치고자 만든 팔만대장경은 대한민국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습니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환관 의미와 역할, 혜택, 환관으로 입궁하는 법 (0) | 2024.06.09 |
---|---|
병자호란 발생배경, 삼전도의 굴욕, 소현세자의 심양 생활 (0) | 2024.06.08 |
임진왜란 발생배경, 조선의 도자기 기술, 이삼평 (0) | 2024.06.07 |
여몽전쟁 1차 침입 배경, 귀주성 전투, 고려의 항복 (0) | 2024.06.06 |
무신정변 배경, 무신의 위상, 의종의 죽음, 역사적 의의 (0) | 2024.06.05 |